석탄이 2021. 1. 26. 16:49

책 THE GOAL : 성과관리 리더십 에서 발제

- KPi는 자체가 목표가 아니고 목표에 대한 측정 방법을 말합니다. 

- 목표=GSF+KPI+Taget ,
  '전년대비 매출액 110%'라는 설정은 KPI+Taget만 있는 것으로 GSF가 마련되어야 목표가 됨. 

- KPI는 정량지표와 정성지표로 구분될 수 있고, 결과지표와 수단지표로 구분될 수도 있다. 

- KPI 설정 방법 
  1. 업무연관성이 있어야 한다. 
  2. 통제가능성이 있어야 한다. (외부요인이 50% 이상일 경우는 잘못된 KPI)
  3. 비교가능성이 있어야 한다. ( 과거의 목표와 현재의 목표가 비교 가능)
  4. 명확성이 있어야 한다. 
  5. 원인성이 있어야 한다. 
  6. 적시성이 있어야 한다. (업무수행시기와 결과를 적시에 반영)

- KPI 제외기준 
  1. 당연 수행업무는 제외
  2. 의미없는 수치 제외
  3. 너무 쉬운 수치는 제외
  4. 단순 목표량 채우기 제외
  5. 부정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지표 제외

- 정성지표 : 대부분의 업무는 질적인 평가를 해야 하는 경우가 많음. 이 때 '업무완성도', '기한 준수도', '개선노력도'를 6:2:2 정도로 반영. 

- 정성지표의 객관성/공정성 이슈는 수시상담 및 면담, 피드백의 강화를 통해서 해결해야 한다. 

- 상시면담시에는 평가기록, 이에 대한 구성원 발언, 반응기록을 남겨놔야 합니다. 못하고 있는 경우는 반드시 피드백을 주어야 합니다.